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대만여행
- S&P500
- Late Cycle
- 신페이시여행
- 타이페이맛집
- 미국주식
- 타이페이여행
- 대만교통
- 애브비
- 신주여행
- BMY
- 신페이여행
- 미국증시
- 배당성장투자
- 인천 서구
- FOMC
- 경기침체
- JP Morgan
- 대만문화
- 미국경제지표
- AbbVie
- #미국증시
- 티이페이여행
- 물가연계채권
- 대만유행
- 대만축제
- 미국경제
- ABBV
- 타이난맛집
- 타이페이 여행
- Today
- Total
꽃길예감
탑다운 투자전략 본문
2018년 11월 25일 투자생각
★ 전략
○ 16년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이 지속되고 있음. (현재 2.25%)
○ ‘Trading Economics에 따르면 2020년까지 기준금리는 3.5%까지 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음.
○ 또한, 이번 연도까지 금리는 2.5%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음.
○ 이에 따라 기준금리 상승에 의한 10년 국채 및 장기 국채의 가격하락이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.
▶ Intermediate Term/ Long Term Bond Forecast: Under perform
○ 금리가 오르기 시작한 16년부터 경기 상승국면으로 전환되었다고 생각되는 바,
○ 아직 미국 주식시장의 상승여력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 함.
○ 또한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낮추면서 금리 상승의 피해를 가장 덜 받는 단기 국채를 통한
○ 하방 리스크에 대비는 필요하다고 생각함.
○ 하지만, 12월 금리인상 여부를 놓고 금리의 추가 상승여부에 대한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섣부른 국채매수는 제한적으로 행동해야.
○ 1~3Year Bond Duration은 1.87Yr이며, 2020년 까지 1년 남은 상태에서 1% 금리 상승시 1.87%의 가격하락이 불가피, (분배금 수익은 1.5%)
▶ US Stock Forecast: Outperform, Short Term Bond Forecast: Neutral
○ ‘Interactive Asset Allocation’에서 Expected 10YR/ Historical 3YR 기준 자산별 수익 및 표준 편차는
[Expected 10YR]
Expected 10YR | Real Expected Return | Expected Volatility |
Cash | -0.3% | 1.3% |
Short Term Bond | 0.5% | 2.0% |
US Large Cap | 3.1% | 14.2%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[Historical 3YR]
Historical 3YR | Real Expected Return | Expected Volatility |
Cash | -1.1% | 0.8% |
Short Term Bond | -1.6% | 1.0% |
US Large Cap | 9.3% | 9.4% |
○ 단기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추세가 보이지 않고 있음.
▶12월 금리인상여부를 파악할 때 까지,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,
현금보유를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됨.
'Macro Investment > KD Portfol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년 7월 배당성장 투자 종목 - ABBVIE (0) | 2019.06.23 |
---|---|
2019년 6월 배당성장 주식 - Lowe's (0) | 2019.05.23 |
배당성장투자 - 애브비 (1) | 2019.04.14 |
2019년 1월 6일 투자생각 (0) | 2019.01.06 |
BD's Investment Portfolio - 2018.08.21 (0) | 2018.08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