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티이페이여행
- AbbVie
- 신페이여행
- 미국증시
- 대만교통
- #미국증시
- 미국주식
- ABBV
- 타이페이여행
- Late Cycle
- 타이페이맛집
- 대만여행
- S&P500
- 대만축제
- 미국경제
- 신주여행
- FOMC
- 신페이시여행
- JP Morgan
- 경기침체
- 타이난맛집
- 배당성장투자
- 애브비
- 대만문화
- 물가연계채권
- 미국경제지표
- BMY
- 타이페이 여행
- 대만유행
- 인천 서구
- Today
- Total
꽃길예감
주식투자공부 – 주식, 현금 비중 조절 본문
경제위기, 금융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주식, 현금 비중 조절의 중요성
1. 금융위기라는 필연적인 사이클을 맞이할 준비를 하자
l 최근 미국 장단기 국채 수익률의 격차 감소와 평탄화로 금융위기의 시그널이 다가오고 있다는 주장 다수.
[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]
l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달러강세, 금리상승 등 신흥국에 끼치는 영향력 증가
l 최근, 터키와 아르헨티나 뿐만 아니라 남아공, 인도네시아 등의 신흥국으로 까지의 외환위기의 가능성 확대
l 실업률의 저점 도달 시점과 경기 침체 직전의 시점의 상관관계에서 금융위기의 시그널의 주장 다수
[실업률 최저치 도달 직전 시점과 리세션 직전의 관계]
Ø 금융위기라는 사이클은 언제 일지는 모르지만 언젠가는 맞이 해야 할 운명 (기회?)
2. 주식시장의 약세장의 리스트 (1950년부터 지금까지, by wikipedia)
- 약세장: 52주 최고 20% 이상 가격이 떨어진 때, 하루 또는 이틀 안에 가격이 10% 이상 하락한 때
이름 |
지수 하락폭 |
기간 |
회복기간 |
|
케네디 슬라이드 |
72$에서 52$ -28% |
61년 12월 ~ 63년 8월 |
616일 |
88주/21개월/1.7년 |
주식시장 붕괴 |
118$에서 63$ -46% |
72년 12월 ~ 80년 8월 |
2782일 |
397주/93개월/7.6년 |
블랙먼데이 |
335$에서 223$ -33% |
87년 8월 ~ 63년 8월 |
706일 |
101주/24개월/1.9년 |
13번째 프라이데이 |
358$에서 320$ -11% |
89년 10월 ~ 90년 5월 |
231일 |
33주/8개월/0.6년 |
l 유나이티드 항공의 차입매수 실패 |
||||
1990년대초 경기침체 |
367$에서~300$ -18% |
90년 7월 ~ 91년 2월 |
231일 |
33주/8개월/0.6년 |
l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, 유가상승 |
||||
닷컴버블 |
1527$에서 800$, -48% |
00년 7월 ~ 07년 7월 |
2667일 |
381주/89개월/7.3년 |
l 기술주의 상승한 주가의 붕괴 |
||||
07년~08년 금융위기 |
1561$에서683$
-56% |
07년 7월 ~ 13년 3월 |
2086일 |
298주/70개월/5.7년 |
2011년 8월 주식시장 하락 |
1345$에서1123$
-17% |
11년 7월 ~ 12년 2월 |
210일 |
30주/7개월/0.6년 |
주식시장 하락 |
2126$에서1864$
-12% |
15년 7월 ~ 16년 7월 |
358일 |
51주/12개월/1년 |
l 이틀간 2015년에 상승한 모든 이익분을 반납 |
Ø 시장에서 가장 크게 하락한 07~08년 금융위기 당시 지수는 최고점 기준 56% 하락 (1950년부터)
Ø 72년 주식시장 붕괴 지수를 다시 회복하는데 걸린 기간 약 2782일, 397주/93개월/7.6년
3. 현금 및 주식 자산 비중 고려의 필요성.
- 가장 크게 하락하고, 회복기간이 오래 걸린 07~08년 금융위기, 닷컴 버블 기준.
- 70% 하락, 회복기간 8년 가정,
- 10000원을 투자, 종목 A의 가격은
- 00년 1월 1일: 10원 /02년 1월 1일: 3원 / 08년 1월 1일: 10원
l 주식시장에 자산 100% 투자 시. [00년 매수, 08년 매도]
n 00년 수량: 1000주, 현재가 : 10,000원
n 02년 수량: 1000주, 현재가 : 3,000원
n 손익: -70%
n 08년 수량: 1000주, 현재가 : 10,000원 손익 0%
Ø 8년간 투자 수익률 0% / 년간 수익률 0% / 최대 손익률 -70%
l 주식시장에 자산 50% 투자 시. [00년 매수, 03년 추가매수, 08년 매도]
n 00년 수량: 500주, 현재가 5,000원 + 현금 5,000원
n 02년 수량: 500주, 현재가 1,500원 (-70%) + 현금 5,000원
n 손익: -35%
n 03년 수량: 500주, 현재가 1,500원 (-70%) + 1666주, 현재가 4,990원 (0%)
n 08년 수량: 2166주, 현재가 10원 (216%)
Ø 8년간 투자 수익률 216% / 년간 수익률 약10% / 최대 손익률 -35%
l 주식시장에 자산 30% 투자 시. [00년 매수, 03년 추가매수, 08년 매도]
n 00년 수량: 300주, 현재가 3,000원 + 현금 7,000원
n 02년 수량: 300주, 현재가 900원 (-70%) + 현금 7,000원 (0%)
n 손익: -21%
n 03년 수량: 300주, 현재가 900원 (-70%) + 2300주, 현재가 6,900원 (0%)
n 08년 수량: 2600주, 현재가 26,000원 (260%)
Ø 8년간 투자 수익률 260%, 년간 수익률 약 13% / 최대 손익률 -21%
★결론
▶ 지금까지 일어난 약세장, 금융위기는 사회의 노력(?) 끝에 잘 이겨내었음.
▶ 주식시장의 하락도 장기보유를 했을 경우 오랜기간의 끝에 회복을 하고 상승하였음
▶ 앞으로 약세장 중 손익은 최대 -70% 까지 경험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됨 (개인적인)
▶ 주식 투자 금액은 약세장에서 잘 견디기 위해, 현금+주식의 손익률에 대해서 버틸 수 있는 개인의 차에 따라야.
▶ 예로 여유자산 1억원을 투자할 경우, 약세장 최대 하락비율은 0.3 (-70%), 허용가능한 자본금의 손실 0.8 (-20%, 개인의 차) 이라면, 투자금액은?
자산*허용가능손실(%)/약세장 최대 하락비율(방어가능 손실률)
ex) 1억*0.2/0.3=6,666만원
'경제이슈│재테크 inf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 FOMC Meeting (0) | 2018.12.07 |
---|---|
미국 단기/중기/장기 국채 투자에 대한 수익을 추종하는 ETF (0) | 2018.11.11 |
주식공부 MACD 보조지표를 이용한 추세확인 방법 (0) | 2018.09.03 |
8월 주식시장 시황 (0) | 2018.09.02 |
애플리케이션 앱 추천 - 편한가계부 [가계부어플] (0) | 2018.09.02 |